티스토리 뷰

윤년은 언제인지와 계산 방법_51

윤년은 언제인지와 계산 방법

지금부터 윤년은 언제인지와 계산 방법에 대한 내용을 아래에서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윤년은 지구의 공전주기 365.2422일과 달력의 365일 차이를 보정하기 위해 4년마다 2월 29일을 추가하는 해로, 그레고리력 규칙에 따라 연수가 4로 나누어떨어지되 100으로 나누어떨어지는 해는 평년이며 400으로 나누어떨어지는 해만 윤년이 됩니다.

2025년 최신 윤년 계산 방법과 그레고리력 규칙을 완벽 정리! 4년, 100년, 400년 공식으로 정확한 윤년 판별법을 알아보세요. 실무에서 바로 활용 가능한 계산법과 흥미로운 윤년 역사까지 한 번에 확인해보세요.

윤년의 정의와 필요성

윤년은 언제인지와 계산 방법에 대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를 참고하세요!

윤년은 언제인지와 계산 방법_1윤년은 언제인지와 계산 방법_2윤년은 언제인지와 계산 방법_3

지구 공전주기와 달력의 차이

지구가 태양을 한 바퀴 도는 공전주기는 365.2422일인데, 달력의 최소 단위인 하루는 자전주기를 기준으로 하기 때문에 남는 0.2422일(5시간 48분 46초)을 표기할 방법이 없습니다. 이 때문에 실제로는 매년 약 6시간씩의 오차가 누적되죠.

윤년은 언제인지와 계산 방법_1윤년은 언제인지와 계산 방법_2윤년은 언제인지와 계산 방법_3

내가 어릴 때 궁금했던 건데, 왜 하필 2월에 하루를 더하는 걸까요? 로마시대 옥타비아누스가 자신의 이름을 딴 8월(August)을 31일로 만들기 위해 2월에서 하루를 빼왔다는 설이 있어서, 이미 가장 짧은 달이 된 2월에 윤일을 넣는 게 자연스러워진 거예요.

한국천문연구원이 발행한 「2023년 역서」에 따르면 1회귀년(태양년)은 365.242189일입니다. 정말 정밀한 수치죠! 이 차이가 4년 모이면 거의 하루가 되니까, 4년마다 하루를 추가해서 보정하는 거예요.

공전주기 오차 계산:

365.2422일 - 365일 = 0.2422일 (5시간 48분 46초)

0.2422일 × 4년 = 0.9688일 ≈ 1일

윤년이 생긴 역사적 배경

BC46년 로마 시대의 율리우스 시저는 이집트를 원정했을 때 이집트 수학자들이 매년 나일강의 규칙적인 범람과 천체의 움직임을 비교 관측해서 1년을 365.25일로 사용하는 간편한 역법을 발견하고, 그것을 규범으로 기존의 사용하던 엉성한 로마력(1년 355일, 총 12개월로 1년을 구성)을 개정했습니다.

윤년은 언제인지와 계산 방법_4윤년은 언제인지와 계산 방법_5윤년은 언제인지와 계산 방법_6

그런데 여기서 문제가 생겼어요. 365.25일은 실제 태양년(365.2422일)과 0.0078일의 차이가 생기니까, 128년이 지나면 1일의 차이가 생기는데 율리우스력은 이에 대한 보정을 해주지 못했어요.

이런 오랫동안 누적된 역법상의 오차로 AD325년 춘분은 3월 22일이었으나, AD1582년 춘분은 3월 11일이었습니다. 무려 11일이나 차이가 났던 거죠! 이게 기독교에서 부활절을 정할 때 큰 문제가 되었어요.

결국 그레고리우스는 각 교회와 의논한 끝에 1582년 10월 5일부터 14일까지 10일을 생략하고, 즉 10월 5일을 10월 15일로 한다는 새 역법인 그레고리력을 반포했습니다. 정말 대담한 결정이었어요. 하루아침에 열흘이 사라진 거니까요!

윤년은 언제인지와 계산 방법_4윤년은 언제인지와 계산 방법_5윤년은 언제인지와 계산 방법_6

그레고리력 윤년 계산 규칙

윤년은 언제인지와 계산 방법_7윤년은 언제인지와 계산 방법_8윤년은 언제인지와 계산 방법_9

기본 4년 규칙과 예외사항

많은 사람들이 "4년마다 윤년"이라고 단순하게 알고 있는데, 사실 그레고리력의 윤년 규칙은 좀 더 복잡해요. 서력 기원 연수가 4로 나누어 떨어지는 해는 윤년으로 하되, 100으로 나누어떨어지는 해는 평년으로 하고, 400으로 나누어떨어지는 해는 윤년으로 둡니다.

실제로 내가 2000년에 윤년인지 헷갈렸던 기억이 있어요. 2000년은 100으로도 나누어떨어지니까 평년인가 싶었는데, 400으로도 나누어떨어져서 윤년이더라고요 ^^

구체적인 예시를 들어볼게요:

윤년인 경우:

• 2024년: 4로 나누어떨어지고 100으로는 나누어떨어지지 않음

• 2000년: 400으로 나누어떨어짐

윤년은 언제인지와 계산 방법_10윤년은 언제인지와 계산 방법_11윤년은 언제인지와 계산 방법_12

• 1600년: 400으로 나누어떨어짐

평년인 경우:

• 1900년: 100으로 나누어떨어지지만 400으로는 나누어떨어지지 않음

윤년은 언제인지와 계산 방법_7윤년은 언제인지와 계산 방법_8

• 2100년: 100으로 나누어떨어지지만 400으로는 나누어떨어지지 않음

100년과 400년 규칙의 실제 적용

윤년 설정 규칙에 '100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해는 평년으로 하되, 400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해는 윤년으로 한다'는 추가 조건을 붙인 달력으로, 400년마다 윤년을 97회 오게 해서 달력이 실제 1년보다 길어지는 현상을 없앴습니다.

이 규칙이 얼마나 정밀한지 알아볼까요? 그레고리력은 365.2425일로 계산이 되기 때문에 실제 1년보다 0.0003일(약 26초) 정도 길어지는 오차가 있어요. 이 정도면 약 3333년마다 1일의 오차가 생기는 수준이에요.

400년 주기로 보면 이렇게 계산돼요:

400년간 윤년 계산:

• 4로 나누어떨어지는 해: 100개

윤년은 언제인지와 계산 방법_13윤년은 언제인지와 계산 방법_14윤년은 언제인지와 계산 방법_15

• 100으로 나누어떨어지는 해(평년 처리): 4개

• 400으로 나누어떨어지는 해(윤년 유지): 1개

• 실제 윤년 수: 100 - 4 + 1 = 97개

정말 치밀하게 계산된 거죠! 율리우스력이 약 128년에 하루씩 늦어지니 128년 주기로 윤년을 평년으로 돌려놓으면 훨씬 깔끔하겠지만 128·256·384…는 기계로 계산하지 않으면 바로 눈에 안 들어오니까, 암산하기에 편하도록 100·200·300을 윤년에서 빼고 400년은 그대로 윤년으로 한 것입니다.

윤년 판별 실전 계산법

윤년은 언제인지와 계산 방법_16윤년은 언제인지와 계산 방법_17윤년은 언제인지와 계산 방법_18

간단한 암산으로 윤년 확인하기

일상에서 특정 연도가 윤년인지 빠르게 확인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 내가 실제로 사용하는 꿀팁이에요!

단계별 확인법:

1단계: 연도가 4로 나누어떨어지는지 확인

→ 안 떨어지면 평년 확정

2단계: 연도가 100으로 나누어떨어지는지 확인

윤년은 언제인지와 계산 방법_19윤년은 언제인지와 계산 방법_20윤년은 언제인지와 계산 방법_21

→ 안 떨어지면 윤년 확정

3단계: 연도가 400으로 나누어떨어지는지 확인

→ 떨어지면 윤년, 안 떨어지면 평년

예를 들어 2100년을 확인해볼까요?

• 2100 ÷ 4 = 525 (나누어떨어짐, 다음 단계로)

• 2100 ÷ 100 = 21 (나누어떨어짐, 다음 단계로)

• 2100 ÷ 400 = 5.25 (나누어떨어지지 않음, 평년!)

머릿속으로 금방 할 수 있죠? 연도 끝자리만 봐도 어느 정도 예상이 가능해요.

프로그래밍과 엑셀에서의 윤년 계산

C# 코드로 작성해 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bool bRet = (year % 4 == 0) && ( (year % 100 != 0) || (year % 400 == 0)); 이 한 줄로 모든 윤년 규칙을 처리할 수 있어요.

윤년은 언제인지와 계산 방법_22

파이썬에서는 이렇게 쓸 수 있어요:

파이썬 윤년 판별 코드:

def is_leap_year(year):

    if year % 400 == 0:

        return True

    elif year % 100 == 0:

        return False

    elif year % 4 == 0:

        return True

    else:

        return False

Excel에서 사용하는 날짜 시스템은 교황 그레고리오 13세에 의해 1582년에 처음 만들어진 양력을 기반으로 합니다. 엑셀에서는 DATE 함수나 YEAR 함수와 조합해서 윤년을 판별할 수 있어요.

윤년은 언제인지와 계산 방법에 대해 더 알고싶은 내용은 아래를 확인하세요!

실무에서 활용할 때는 이런 식으로 쓰면 돼요:

엑셀 윤년 판별 공식:

=IF(AND(MOD(A1,4)=0,OR(MOD(A1,100)<>0,MOD(A1,400)=0)),"윤년","평년")

내가 회사에서 프로젝트 일정 계산할 때 이 공식을 자주 사용해요. 2월이 29일까지 있는지 확인해야 하는 경우가 종종 있거든요.

윤년은 언제인지와 계산 방법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내용을 확인해보세요!

특히 나무위키 윤년 문서에서 더 자세한 역사적 배경을 확인할 수 있어요. 정말 흥미로운 내용들이 많더라고요!

마무리하며

윤년은 단순히 "4년마다"가 아니라 정교한 수학적 계산에 따른 결과예요. 2025년은 평년이지만, 2028년은 윤년이 될 거예요. 그레고리력도 약 3333년마다 1일의 편차가 생기게 되는데, 이에 대한 수정안들도 제시되고 있어요.

하지만 당분간은 현재의 그레고리력을 계속 사용할 테니까, 우리는 이 규칙만 잘 알고 있으면 충분해요. 일상에서 날짜 계산할 때나, 프로그래밍할 때나, 정말 유용한 지식이거든요.

앞으로 윤년인지 헷갈릴 때는 이 글을 참고해서 정확하게 계산해보세요. 그리고 2월 29일에 태어난 친구가 있다면, 더 특별하게 축하해주는 것도 좋겠어요 ㅎㅎ

볼만한 글

윤년은 언제인지와 계산 방법_51